분류 전체보기 (555) 썸네일형 리스트형 Moffatts (모팻츠) 팝 음악계에서 음악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는 가족, 또는 형제 그룹들의 등장은 놀랄만한 현상으로 여겨지면서 항상 많은 주목을 받아 왔었다. 이들 중 세계적으로 큰 명성을 얻었던 그룹으로는 오스모느 브라더스, 잭슨 파이브가 있었고 가장 최근에는 핸슨이 있었다. 한 가족이 음악적인 재능을 모두 갖추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부러운데, 게다가 많은 인기를 누린 이들을 보면 정말 스타는 타고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 이제 그들의 명성을 이을 새로운 스타의 탄생을 지켜 볼 수 있게 되었다. 이름하여 모팻츠(Moffatts). 얼마 전 15살이 된 스카트, 그리고 세 쌍둥이인 14살의 밥, 클린트, 데이브로 이루어진 모팻츠는 비록 어리지만 1990년부터 그들의 고국인 캐나다에서 TV공연을 해올 정도로 뛰.. Lou Bega (루 베가) 루 베가(Lou Bega)... 그는 마카레나 이후로 전세계에 Mambo Fever라고 일컬어지는 열병을앓게 한 장본인이다. [A Little Bit of Mambo](99)란 데뷔 앨범에 쿠바리듬과 스윙, 소울, 랩을 절묘하게 혼합해 놓았다. 그가 이렇게 여러 장르를 소화해낼 수 있었던 것은 아프리카 우간다 출신의 아버지와 이태리의 시실리 출신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것이 무시 못 할 영향력으로 작용했다. 그는 다른 국적의 부모 사이에 또 다른 국가인 독일이란 나라에서 태어나고 자랐기 때문인지 어렸을 때부터 다양한 문화 를 접해볼 수 있었다. 일찍이 남미의 리듬을 듣고 자랐으며 틴에이지 시절에는 R&B와 레게 음에 심취해 있었다. 그리고 18살 되던 해에 마이애미로 이주한다. 그때 그는 3~40년대 .. Karoline Kruger (캐롤라인 크루거) 1970년 2월 13일생 노르웨이 출신 가수 1988년 You call it love 로 데뷔 1988년 1집 앨범 [ Fasetter ] 2004년 6집 앨범[ De to stemmer ] 가족사항 : 남편 ,딸 2명 'You Call It Love'는 노르웨이 출신의 캐롤라인 크루거가 불렀는데 국내 음악팬들의 취향에 가장 잘 어우러지는 유럽 발라드풍의 곡으로 멜로디의 선율의 잔잔함 때문에 누구나 쉽게 따라 부를수 있게 되어있다.그녀는정식 데뷰하려 88년 유러비젼 송 콘테스트에 노르웨이 대표로 참가했으나, 입선도 하지 못하고 탈락하는 고배를 마셨으나, 그녀의 가창력을 눈여겨 본 당시 심사위원들의 적극적인 추천으로 400명이 경합을 벌인 'You Call It Love'의 주제가를 부를 가수 심사에 서 .. Jinchuha(진추하) Chinese name : Chan Chow Ha English name : Chelsia Chan 대만 출신의 가수겸 배우 진추하. 1979년 영화 '사랑의 스잔나'의 주제가 one Summer Night"으로 잘 알려진, 진추하는 이 영화에서 불치병에 걸린 스잔나로 직접 출연해 한국 청년과의 애틋한 사랑을 연기했으며 당시 국내에서 큰 인기를 모았었다. 졸업의 아쉬움을 노래한 "Graduation Tears" 그리고 "Tommy Tom Tom"등도 꾸준히 애청되는 곡이다. 다음은 영화의 줄거리이다. 아름답고 총명하고 음악을 좋아하는 진추하는 자신이 불치의 병에 걸려 앞으로 6개월의 시한부 생명임을 알게된 것은 홍콩의 농아학교 교사인 한국청년 마국휘와 사랑에 빠진 후였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충격과 슬픔을.. Harry Belafonte (해리 벨라폰테) 칼립소 음악의 제왕이자 존 바에즈(Joan Baez), 밥 딜런(Bob Dylan)등과 함께 당대의 대표적인 저항뮤지션으로 통하던 해리 벨라폰테는 해롤드 조지 벨라폰테(Harold eorge Belafonte)가 본명으로 1927년 3월 1일 뉴욕 할렘(Harlem)에서 태어났다. 자메이카 출신 부모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8세때 어머니와 함께 자메이카로 돌아가 5년동안 거주하였다. 나중 미국 뉴욕에 돌아와서 유년기의 경험을 잊지 못해, 두 팔 걷어붙이고 서인도 제도의 음악 특히 칼립소의 연구와 녹음에 집중했다. 그는 대중스타로 성공한 아프로 아메리칸(Afro-American - 아프리카에 뿌리를 둔 미국 흑인들을 가리키는 말) 중의 한 명으로 기록된다. 그의 음악 장르는 민속 음악과 재즈, 칼립소 등이다... Gloria Estefan (글로리아 에스테판) Gloria Estefan (글로리아 에스테판) 다른 어느 뮤지션들보다도 글로리아 에스테판(Gloria Estefan)과 마이애미 사운드 머쉰(Miami Sound Machine)은 메인스 트림에 라틴 음악을 편입시키는데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쿠바에 거주하던 그녀의 가족은 피델 카스트로(Fidel Castro)의 공산 정권으로부터 피난하여 마이애미에 도착하였다. 이주민으로서 어린 시절 가난한 삶을 이어갔지만 그녀는 10대 때 기타를 배우면서 꿈을 키워나갔다. 1975년 운명의 날이 그녀에게 다가왔다. 친구의 결혼식에서 노래 부르는 모습을 보고 그 당시 마이애미 라틴 보이스 (Miami Latin Boys)라 불리던 밴드의 리더 에밀리오 에스테판(Emilio Estefan)이 깊은 인상을 받은 것이.. Fastball (페스트볼) Miles Zuniga, Tony Scalzo, Joe Shuffield 트리오는 원래 Mageto U.S.A.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었는데, Texas지역에는 꽤나 유명했었다. 첫 앨범 작업을 치르는 동안 그들은 밴드의 이름을 Fastball이라 바꾸었으며, 1996년 데뷔 앨범 Make Your Mama Proud를 발표하였다. 앨범은 그리 큰 성공을 거둔 것은 아니지만, 이를 통해 Fastball은 그들의 잠재력을 보여줄 수 있었다. 두 번째 범 All the Pain Money Can Buy [1998]에선 Pop적인 요소를 받아들여 그들의 음악은 한층 향상되었으 며, 다양한 사운드와 가사를 들려준다. Engelbert Humperdinck (잉글버트 험퍼딩크) 본명이 게이리 도시인 잉글버트 험퍼딩크(Englbert Humperdinck)는, 1936년 5월 3일 인도의 마도러스라는 작은 마을에서 2남 7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섹소폰을 배운 그는 영국으로 이주한 후에 학교에서 밴드를 조직하여 활동하기도 했다. 졸업 후에는 엔지니어로 취직하여 근무를 했지만, 음악에 대한 관심을 버릴 수 없어 클럽에서 노래를 했다. 59년 영국의 파로폰 레코드사와 계약을 맺고 데뷰하여 여러 레코드사를 전전하며 활동했으나, 별다른 반응을 얻지 못하고 실의에 빠져 노이로제로 한 동안 병원 신세를 지기도 했다. 66년 그는 탐 존스(Tom Jones)를 출세시켰던 명 프로듀서인 고든 밀즈를 만나 이름을 잉글버트 험퍼딩크(독일의 유명한 작곡가 이름을 그대로 딴 것임)라고 ..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70 다음